1. 브랜드, 모델명 브레게 클래식 5907 BARef. 5907 2. 시계 사양 무브먼트 : Cal 511DR- 파워리저브 : 95시간- 수동 무브먼트- FP 1150에서 로터를 제거, 파워리저브 인디케이터를 추가 케이스 크기 : 34mm / 두께 7.5mm러그 사이즈 : 18mm러그 투 러그 : 41mm방수 : 30m소재 : 옐로우 골드 3. 들이게 된 계기와 경험담 시계를 취미로 하다보면 누구나 '드레스 워치'를 들이고 싶은 욕구가 생기기 마련이다.이미 정장에 서브마리너를 차도 아무도 뭐라 하지 않는 시대가 되었다지만, 스포츠워치가 가지지 못하는 드레스워치들만의 특유의 만듬새와 감성은 시계덕후들의 마음을 자극하기 마련. 당시(그리고 지금도)에 나는 가지고 있던 드레스워치에 대해서 몇가지 기준들을 ..
1. 브랜드, 모델명 오메가 씨마스터 아쿠아테라 구구구구형(속칭 뀨뀨형) 블루핸즈Ref. 2502.33 2. 시계 사양 무브먼트 : Omega Cal 2500c- 파워리저브 48hr- 자동 무브먼트(Co-axial 이스케이프먼트 시스템)- ETA 2892/A2 기반, BPH 25200 케이스 크기 : 41mm / 두께 11.5mm러그 사이즈 : 21mm러그 투 러그 : 50mm방수 : 150m소재 : 스테인리스 스틸 3. 들이게 된 계기와 경험담 시계를 취미로 본격적으로 하던 대학생때 들이게 된 시계. 당시에는 하나만 사고 끝내야지! 라는 마음으로(지금보면 참 순수했던..) 여러가지 정보를 찾아보았고 당시 가용가능한 예산 + 원탑으로 쓴다고 할때 갖춰야 할 여러 요소들에 대한 고민 끝에 들인 시계였다..
0. 서론 오메가 스피드마스터 문워치 프로페셔널, 속칭 문워치.시계를 취미로 하는, 소위 시덕이라면 한번쯤은 이 문워치를 컬렉션에 포함시키는 것을 고려해보기 마련이다. 달착륙이라는 매력적인 히스토리의 감성, 수동 크로노그래프, 오메가라는 브랜드, 줄질하기 편한 20mm 사이즈에 검판 등 다양한 요소들이 합해지며 시계 판에서 가장 아이코닉한 시계라는 점은 외면하기 어려운 매력이기 때문이다. 나 역시도 다양한 이유로 문워치를 한번쯤은 내 컬렉션에 넣을까 하는 고민이 있었고, 실제로도 구매 직전까지 갔던 적도 많았었다.(그리고 앞으로도 계속 있을 것이다) 역사가 긴만큼 다양한 바리에이션과 한정판이 있었고, 각기마다 매력이 있었기에 속칭 '문워치병'은 특정 주기를 가지고 재발해왔다. 이런 의미에서 나의 다음 '..
https://youtu.be/lOrU0MH0bMk?si=1K-Y50ijHsJI_eb0 (가사)Ha! Ah- yeah uh, uh 모두 그에게 말해 또 왔네 (새꺄 what?) 죽지 않고 왔다 이렇게 (새꺄 뭐?) Snacky chan의 라인을 빌릴래 했어 예수처럼 이렇게 부활을 031 팔 안쪽의 tattoo freaky, woah 어젠 시장님이 만나쟤 Motown 어수룩해 엄마 속에 걱정 한 톤만큼 쌓고 스물한살에 독립했던 얘는 여섯이 되었고 발견했지 우연히 5년 전의 노트 정말 스타 되고 싶어 그럴려면 가서 만나면 돼 악마? 노트를 덮고 거울에 비춰진 남자를 보니 와 저 손목이 너무 부러워 저 금 day date rollie 넘을걸 천백은 더 전국 사람들이 외치네 저 괴물체는 뭘까? Meteor 거..
0. 서론 시계 라인업의 구성은 언제나 어렵다. 일반적으로 시계를 보통 예물용으로 하나 크게 맞춘 후 관심을 끄는 일반인과 다르게 소위 시덕질 좀 하는 시계인이라면 한번쯤은 여러 개의 시계를 갖추고 싶어하고, 한정된 자원 하에서 최대한 다양하게 시계를 가져가고자 한다. 그러다보면 나오는 것이 소위 '드레스용 / 스포츠용' 의 이분법, '육/해/공'의 트리오, '육/해/공/드'의 콰르텟 등 다양한 구성의 라인업이 등장하게 된다. 그러한 일환에서 결국 시계인이라면 한번쯤은 만나게 되는 분야가 바로 이 '파일럿 워치'이다. 세계 대전 당시 공군 비행사들이 썼던 디자인의 DNA를 담았다는 감성, 심플하면서도 직관적인 디자인(크로노를 제외하면), 강한 항자성 탑재로 인한 생활의 편리함 등의 다양한 복합적 이유를..
0. 서론 일본의 마술사, Mr.Maric이 저술하고 아르카나에서 번역한 서적인 황금의 이론 리뷰이다.이 책은 여러 위대한 마술사들의 마술 이론과 마음가짐을 담고 있는 책으로, 국내에서는 최현우 마술사가 이 책을 접한 후 감명 받아 한국의 마술사들에게 소개하고자 하는 열정으로 아르카나에 소개하여 번역되게 된 책이다. 총 9개의 챕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앞의 8개 챕터는 각 챕터마다 마술사 한명의 이론과 생각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고 마지막 챕터에서는 기타 이론들을 모아서 다루고 있다. 마술사마다 전문 분야가 다르기에 챕터에 따라 클로즈업-팔러-스테이지의 전 규모 마술을 다양하게 설명하고 있으며, 관객-마술사간의 심리나 연출설계에 대한 이론부터 시작하여 특정 기술들을 수행함에 있어서의 실전 팁까지 다방면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