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스페인의 저명한 마술사이자, 우리들의 렉처계 공장장 다니 다올티즈의 최초 한글 렉처노트인 'Notas Corea' 리뷰이다.
지난 2024년 6월 한국에서 오프라인 렉처쇼와 마스터 클래스를 진행할 때 내원한 김에 발매해버린(...) 렉처로, 5만원의 가격에 총 6가지의 마술을 담고 있다. 상당히 흥미로운 점으로 한국이라는 좁은 시장에서 한국어로 발매하는 렉처임에도 기존 스페인에서만 공개했던 렉처와 더불어 최초 공개 마술도 실었다는 것. 마술의 해법은 공유하고 나눌수록 더더욱 발전한다는 그의 생각이 엿보이는 것 같은 부분.
Ambiciosa Pensada
연출 : 한 관객이 문양을 생각하고 다른 관객은 숫자를 생각한다. 마술사가 신호를 주자 그 카드가 맨 위로 올라온다.
두 관객의 조합으로 생성된 카드가 덱 맨위로 올라오는 연출. 아마 눈치챘겠지만 세미오토매틱한 마술이다. 재밌긴 하지만 세미오토매틱임에도 디테일적으로 귀찮은 부분이 은근 많아 그다지 선호하진 않는 마술. 이 정도의 디테일을 챙길거라면 다니 다올티즈의 수많은 아칸 프로젝트 중 하나를 할 것 같단 생각?(특히나 아칸 프로젝트 6)
Todo Dorsos
연출 : 모든 카드가 다 뒷면이던 덱이 마술사가 신호를 주자 앞면이 생겨난다.
세계 최초 공개루틴인 올백(all back) 루틴이다. 보통의 올백과 다르게 굉장히 간결한 구성을 가지고 있고, 노말덱으로 한다는 것이 큰 포인트. 개인적으로는 올백 루틴의 구조를 그다지 좋아하지 않으며, 본 루틴 역시도 그리 취향은 아니지만(모든 카드가 뒷면이다가 다시 앞면이 나타나는것보다는 차라리 정상적인 카드만 존재하다가 모두가 뒷면 되는 것이 나은 것 같아서) 그럼에도 굳이 올백 루틴을 하게 된다면 이 루틴을 할 것 같다.
Pensamiento Deletreado
연출 : 한 관객이 문양을, 다른 관객이 숫자를 생각하고 세 번째 관객은 단어를 하나 생각한다. 관객이 생각한 단어의 스펠링만큼 카드를 내려놓으면 처음 두 관객이 생각하여 만들어낸 카드 조합이다.
연출 자체는 상당히 좋고, 구성도 나름 잘 짜여져 있다. 다만 한글의 특성상 스펠링 트릭을 하기가 어렵고, 영어로 굳이 하려고 노력해도 원안이 스페인어일때만 가능한 점이 있어서 변형이 어려운 루틴. 개인적으로는 스펠링 트릭류는 이전에 리뷰한 '썸띵 어메이징 인사이드'에 실린 조승우 마술사의 'Three questions'가 제일 내 취향이었다.
Valores a la Orden 1
연출 : 잘 섞인 덱을 마술사가 네 패킷으로 나눈다. 관객이 선택한 패킷의 맨 위카드를 확인하고 마술사가 신호를 주면 해당 카드의 포카인드가 나타난다.
세팅이 필요없고 기술도 그다지 필요없는 좋은 연출이긴 하지만 아주 자연스럽게 할 수 있는게 아니면 굳이... 싶은 연출이다. 굳이 이렇게 할거라면 차라리 김준표 마술사의 Kuan 연출이 더 내겐 취향이었다.(이노베이션에 실린 마술로, 위의 썸띵 어메이징 인사이드 리뷰글에 같이 리뷰함.)
Valores a la Orden 2
연출 : 관객이 여러명일 때 하는 버전. 잘 섞인 덱을 네 패킷으로 나누고 관객이 나눠가진다. 관객 한명이 숫자를 말하면, 네 패킷의 모든 탑 카드가 그 숫자카드이다.
이 역시 세팅이 필요없지만 생각보다 고려할게 많아서 복잡한 마술. 사실 이렇게 할거면 훨씬 편하고 효과도 좋은 셀프워킹마술류의 GOAT인 폴 윌슨 마술사의 C3(Con Cam Coincidence)를 할거 같다.
Colores a la Orden
연출 : 마술사는 덱을 빨간색과 검은색 카드 두 뭉치로 분리한다. 빨간색 카드 뭉치에서 관객이 카드 1장을 고르고, 신호를 주면 관객이 고른 카드 외에 나머지는 모두 다 검은색으로 변하고, 검은색 카드뭉치는 전부 빨간색 카드 뭉치로 변한다.
아주 간단한 기술 하나를 통해 큰 효과를 가져오는 루틴. 해법 자체는 아주 간단한데, 직접 시연해보면 눈치채던 사람이 극히 드물던 마술이라 굉장히 맘에 드는 마술. 세팅이 필요하긴 한데, 애초에 카드를 두 뭉치로 분리하는 과정중에 아주 간단한 조작만 들어가면 되기에 크게 어렵진 않다.
종합 및 총평
'소문난 잔치에 먹을게 없다'는 말을 실감할 수 있던 렉처노트.
다니 다올티즈의 강점은 현란한 기술보다는 관객을 휘어잡는 제스처와 주도권, 그리고 자연스러움이라고 생각하는데 본 렉처노트에서는 이러한 것들을 느끼기 어려웠다. 물론 50페이지도 안되는 얇은 책에 그러한 내용을 담기는 어려운 것은 이해하지만, 5만원이라는 적지 않은 돈을 지불한 소비자들 입장에서 이는 그다지 좋은 변명은 아니라 생각한다.
이론적인 것을 제외하더라도 올백 루틴인 'Todo Dorsos'나 마지막 컬러 체인지 루틴인 'Colores a la Orden' 외에는 너무나도 좋은 대체제가 많다고 느꼈기에 건진게 크게 없다고 느꼈다. 차라리 이 돈이면 조금만 더 모아서 세미오토매틱을 사는걸 추천한다.
총점 - ★☆☆☆☆
'마술 > 마술강의, 서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타이틀드 렉쳐 - 엄준혁 마술사 (0) | 2025.02.08 |
---|---|
마술잡지 아르카나(ARCANA) 2025년 1월호 리뷰 (0) | 2025.01.29 |
황금의 이론 - Mr.Maric (5) | 2024.08.25 |
아르카나 온라인 렉처 - 아르만도 루세로(Armando Lucero) (0) | 2024.08.17 |
The Legacy Collection : 10. MISC Mentalism - Peter Turner (0) | 2024.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