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커

서론 온라인이 아닌 오프라인 포커를 하다보면 간혹 마주하는 상황이 바로 '안봤다 올인'이다.자신의 패를 실제로 보지 않고 순전히 운에만 던지는 이 행위는 캐쉬게임은 물론이고 리바이인이 가능한 토너를 하다보면 어렵지 않게 마주할 수 있는 존재이다.(물론 토너에서는 금지된 경우도 꽤 많다.) 당연하게도 수학적으로는 말도 안되는 행위이기 때문에 이러한 상황을 마주하면 우리는 흥분해서 평소라면 쓰지도 않았을 67s 같은 핸드로 콜하고 들어가기 마련이고, 그러한 상황에서 지고 틸트가 온 경험은 라이브 포커를 수개월 이상 친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번쯤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생각하게 된다. 안봤다 올인에 대해서는 어떻게 대처해야할까? 본 글에서는 이에 대해 생각해볼 점들을 간단하게 짚고자 한다. 0. 정말 안봤다가 맞..
포커를 본격적으로 공부하다보면, 정말 많은 자료들을 접하게 된다.기본적인 프리플랍 레인지 차트부터 시작해서 3-bet, 배럴링, 블러프 캐치 등 액션에 대해서 배우기도 하고, GTO나 ICM 등 밸런싱에 관한 내용을 공부하기도 한다. 많은 해외 프로들의 대회 경기나 핸드리뷰를 보며 그들의 사고 방식을 배우기도 한다. 그러나 문제는 공부를 하면 할수록  포커가 더 어려워진다는 것이다. 예전이었으면 쉽게 판단했을 액션을 많은 시간과 고민 후에야 선택하게 된다는 것. 물론 긴 고민 끝에 내린 액션이 항상 보다 더 좋은 결과로 이어지면 좋겠지만, 장고 끝에 악수를 둔 결과들은 남아 두고두고 마음을 괴롭히기 마련이다.  나도 포커를 그리 오래 치지는 않았지만, 그동안 내가 포커를 치면서 깨닫게 된 몇가지 포인트들..
서론포커를 치다보면 은근 자주 마주하는 상황이 바로 '플랍이 쫑난 상황'이다. 소위 보드에 같은 카드가 2장 떨어진 상황을 우리는 보드가 쫑났다고 하는데, 이 상황은 참 여러모로 머리 아픈 상황이다.약하게는 트립스부터 시작해서 강하게는 풀하우스, 포카드 등 얼마든지 강한 핸드가 나올수 있는 상황이기에 OOP 플레이어 입장에서는 굉장히 수동적으로 플레이할 수 밖에 없게 되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이러한 상황은 생각보다 훨씬 자주 발생한다.자세한 수학적 계산과정을 굳이 쓸 필요는 없지만, 대략적인 과정은 아래와 같다. (플랍에 쫑날 확률) = (쫑날 카드의 값을 고르는 방법) * (그 값을 가진 조합수) * (나머지 랜덤 카드) ÷ (52장 중 랜덤 3장 고르는 경우의 수)= 13 * 4C2 * 4..
서론 포커 공부를 어느정도 한 사람이라면 기본적인 팟오즈 계산 및 EV에 대한 계산법을 알고 있을 것이다.쉬운 예시로 상대가 CO에서 오픈한 것을 내가 BB에서 콜, 플랍에서 난 쳌-콜. 턴에서.. Hero : K♥ 7♥Board : A♥ J♥ 2♠ 5♣ Pot : $150  인 상황에서 내가 체크했는데 상대가 $100를 벳했다고 해보자. 내게 필요한 에퀴티 = (더 내야하는 돈) / (팟 + 상대 뱃 + 더 내야하는돈)= 100 / (150+100+100) = 29% 즉 내 승률이 29% 이상이어야 이것을 콜할 가치가 생기는 것.현재 나는 플러시가 완성되어야만 승리가 가능한 보드이기에 리버에 하트가 뜰 확률을 계산하면 (리버에 하트가 뜰 확률) = (하트 아웃츠) * 2= 9 * 2 = 18% 따라서..
서론 동크벳(Donk Bet)은 OOP에서 직전 라운드의 어그레서 상대로 날리는 배팅을 말한다.단어에서 사용된 동크(당나귀, 멍청하단 뜻)만 봐도 알 수 있듯 이는 포커에서 금기시되는 플레이로, 많은 이들이 동크벳을 날리는 걸 보기만 해도 Fish 취급하거나 포린이로 생각할 정도이다. 그러나 실제로 포커를 치다보면 수많은 스팟에서 동크를 치고 싶어지는 순간들이 온다. 이럴 때 왜 동크를 치지 말라는지에 대한 원리적 이해를 하지 못하고 앵무새처럼 외운 것만을 바탕으로 하여 플레이하면 결국은 실력게임이 아닌 도박으로 가게될 수 밖에 없다. 본 글에서는 동크뱃에 관하여 라운드별 분석을 진행하겠다. 본글은 GTO wizard 블로그의 글을 기반으로 하여 작성하였다. 플랍 : 절대 하지 말것 플랍에서는 동크는 할..
포커를 본격적으로 공부하기 시작한 초보자라면 귀에 못이 박히도록 듣는 두가지 멘트가 있다. "림프하지 말아라""콜드콜하지 말아라" 림프와 콜드콜은 근본적으로 같은 심리에 기반해서 하는 행동이다. 분명 애매하게 좋아보이는 핸드로 아까우니 그냥 폴드는 하기 싫고, 그렇다고 레이즈하기는 너무 약하니까 혹시 아무 카드로나 일단 보드 들어가서 플랍만 보고 죽어야지~하는 것이다.  포커를 조금만 공부해도 림프를 하지 말라는 것은 금방 이해가 간다. 소위 상어책식 설명으로 하면... - 카드 엣지 : 있을리가 없다. 핸드 세기가 쎄면 벨류를 위해서 레이즈해야 했다.- 주도권 : 없다. 림프함으로서 주도권을 상실했다.- 포지션 : 대부분의 경우에 없을 것이다. 언제나 아이솔레잇 레이즈 당할 가능성이 있다.- 스킬 엣지..
리뷰장인김리뷰
'포커' 카테고리의 글 목록